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교육학46

비공식조직의 개념과 순기능 및 역기능 비공식 조직이란, 공식 조직 내에서 조직원들이 자발적으로 만들어낸 일종의 사교모임이다. 예를 들면, 탁구 동아리나, 산악회가 될 수 있다. 개인적으로 생각했을 때는, 이런 동아리들도 '공식적인' 비공식 조직 같은 느낌이 난다는 점에서 비판이 있을 수 있다만, 딱딱한 조직과 비교하여 비교적 자유롭고 위계가 느슨하다는 점에서 비공식 조직의 특징을 지닌다. 이외에도 회사 내에서 그냥 친한 사람들이 모여서 만든 카톡방이나, 그런 것이 없어도 자연스럽게 자주 어울리게 되는 모임들, 모든 것이 비공식 조직의 예이다. 순기능 이러한 비공식 조직은 느슨한 분위기 때문에 공식 조직과 비교하여 다양한 순기능을 가진다. 1. 조직의 의사소통 원활화 비공식 조직은 공식 조직의 위계에서 벗어나 있다. 업무 외적으로 모이는 것이.. 2019. 7. 18.
아이즈너의 문제해결목표와 표현적결과목표 (행동목표 비판) 교육에서의 과학화와 효율성을 추구했던 타일러. 그는 교육에서 목표 설정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보았습니다. 목표 설정은 과업을 달성했을 때 성과 정도를 측정할 수 있어야 하기에 '측정 가능한 행위 동사'를 사용할 것을 강조했습니다. 이를 '행동목표'라고 합니다. 가령, '일차방정식을 이해할 수 있다.'에서 '이해하다'라는 동사는 관찰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은 목표가 됩니다. '일차방정식과 관련된 5개 문제 중 3개 이상 정답을 찾을 수 있다.'로 수정되어야 하겠지요. 아이즈너는 타일러의 이러한 행동목표를 비판합니다. 다음과 같은 이유로 말이죠. 1. 수업은 복잡하고 역동적인 과정이므로 수업 전에 행위 목표의 형태로 진술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말 그대로 수업 중에는 다양한 변수가 발생합니다. 교사의 .. 2019. 7. 17.
사회체제이론 인간은 사회 속에서 살아간다. 사회는 인간의 행동을 규제하기도 하며, 인간은 이에 반발하기도 한다. 이렇게 사회 내에서 나타나는 인간의 행동을 '사회적 행동'이라고 하는데, 사회체제 이론은 어떻게 사회적 행동이 나타나는지 사회체제 내에서 개인과 제도의 상호작용으로 설명한다. 사회에는, 제도가 있고 역할이 있고 역할 기대가 있다. 평범한 가장인 A 씨의 직업은 변호사이다. 변호사라는 직업에 관한 법적인 제도가 있고, 변호사의 역할이 있으며, A 씨에게 변호사로서 기대되는 역할 기대가 있다. 반면, A씨도 변호사이기 전에 사람이다. 이렇게 사람의 관점에서는, 각각은 개인이고, 각각의 인성이 있고, 각각의 욕구가 있다. 이렇게 사회체제 내에서는 제도와 개인이, 역할과 인성이, 역할 기대와 욕구가, 끊임없이 상.. 2019. 7. 16.
벌로의 SMCR이론 & 기출예시 그의 이론은 의사소통의 양상을 설명한다. SMCR이란, 각각 source (송신자) message, channel, receiver이다. S와 R (송신자와 수신자) 송신자와 수신자는 각자 자신의 통신기술, 지식수준, 사회체계, 문화양식, 태도에 따라서 정보를 주고받다. 각자가 공유하는 문화가 다르면 당연히 이해하기 힘들 것이다. Message (메시지) 메시지는 5가지의 요소가 있다. 내용, 요소, 코드, 구조, 처리이다. 내용은 메시지의 주제이다. 예를 들면, '축구'로 정했다. 요소는 소주제이다. 소주제는 '축구의 규칙'이다. 코드는 언어적/비언어적 방식이다. 축구의 규칙은 언어로 설명할 수 있다. 그리고 심판의 사인을 '몸짓', 즉, 비 언어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구조는 내용의 조직 순서이다. .. 2019. 7. 11.
자기 조절학습과 조절 대상 자기조절학습이란, 말 그대로 자신이 학습의 전 과정을 통제하는 것이다. 이렇게 자신이 통제해야 할 영역에는 3가지가 있는데, 지적 영역, 정의적영역, 활동적 영역이다. 하나씩 살펴보기로 하자. 지적영역 지적 영역에서 학습자가 조절해야 할 것은 인지와 초인지이다. 인지는 각 해당 내용을 학습할 때 사용하는 구체적인 전략이다. 예를 들면 자신만의 특정한 과목 공부법이다. 단어를 외울 때 예문을 연상한다거나, 국어 지문을 풀 때 빠르게 한번 훑어본 후 문제를 푼다거나, 모든 과제 접근 방식에서의 전략에는 인지능력이 관여한다. 초인지는 그러한 인지능력을 관리하는 능력이다. 특정 상황에 어느 전략을 꺼내들 지를 판단할 뿐만 아니라, 학습의 전 과정에서 계획하고, 감시하고, 평가한다. 정의적 영역 정의적 영역에서는.. 2019. 7. 9.
가네의 9가지 수업사태와 학생반응 (With 기출예시) 가네의 9가지 수업 사태란, 한 차시의 수업 내에 발생하는 교사의 수업 진행과, 학생의 내적 과정을, 순서대로 제시한 것이다. 여기서는 교사의 진행 - 학생의 내적 과정으로 소개할 것이다. 1. 주의집중 - 주의집중 교사는 수업의 제일 처음에 해당 학습 내용에 대해서 학생의 주의 집중을 획득한다. 켈러의 ARCS이론에 따르면 주의집중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독특한 사례를 제시하거나, 시청각 매체를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2. 목표 제시 - 기대 학생의 주의집중을 획득한 후에는 교사는 해당 차시의 목표를 제시한다. 본 수업 차시가 끝나면 학생이 할 수 있게 될, 도착점 행동을 알려주고, 학생은 기대하게 된다. 3. 선수학습 회상 - 장기기억으로부터 재생 목표를 제시하면, 본 내용을 제시하기에 앞서.. 2019. 7.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