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체제이론
인간은 사회 속에서 살아간다. 사회는 인간의 행동을 규제하기도 하며, 인간은 이에 반발하기도 한다. 이렇게 사회 내에서 나타나는 인간의 행동을 '사회적 행동'이라고 하는데, 사회체제 이론은 어떻게 사회적 행동이 나타나는지 사회체제 내에서 개인과 제도의 상호작용으로 설명한다. 사회에는, 제도가 있고 역할이 있고 역할 기대가 있다. 평범한 가장인 A 씨의 직업은 변호사이다. 변호사라는 직업에 관한 법적인 제도가 있고, 변호사의 역할이 있으며, A 씨에게 변호사로서 기대되는 역할 기대가 있다. 반면, A씨도 변호사이기 전에 사람이다. 이렇게 사람의 관점에서는, 각각은 개인이고, 각각의 인성이 있고, 각각의 욕구가 있다. 이렇게 사회체제 내에서는 제도와 개인이, 역할과 인성이, 역할 기대와 욕구가, 끊임없이 상..
2019. 7. 16.
벌로의 SMCR이론 & 기출예시
그의 이론은 의사소통의 양상을 설명한다. SMCR이란, 각각 source (송신자) message, channel, receiver이다. S와 R (송신자와 수신자) 송신자와 수신자는 각자 자신의 통신기술, 지식수준, 사회체계, 문화양식, 태도에 따라서 정보를 주고받다. 각자가 공유하는 문화가 다르면 당연히 이해하기 힘들 것이다. Message (메시지) 메시지는 5가지의 요소가 있다. 내용, 요소, 코드, 구조, 처리이다. 내용은 메시지의 주제이다. 예를 들면, '축구'로 정했다. 요소는 소주제이다. 소주제는 '축구의 규칙'이다. 코드는 언어적/비언어적 방식이다. 축구의 규칙은 언어로 설명할 수 있다. 그리고 심판의 사인을 '몸짓', 즉, 비 언어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구조는 내용의 조직 순서이다. ..
2019. 7.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