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교육학46

마샤(Marcia)의 청소년 정체감 유형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성격발달이론과 함께 언급되곤 하는 마샤의 정체감 유형 에릭슨 관련 포스트는 맨 아래에 있다. 마샤는 청소년의 정체감 유형을 나누는 기준으로 2가지를 제시했다. 바로, '위기'와 '확신'이다. 위기는 '얼마나 미래에 대해서 고민했는가?'이다. 여러 직업이나 신념 등을 능동적으로 탐구해보고 선택하려고 했던 횟수가 바로 위기이다. 확신은 '그래서 결정을 했는가?'이다. 그 여러번의 횟수 중에서 결정을 해서, 그 직업이나 신념에 몰두하고 있는 정도가 바로 확신이다. 그래서 마샤는 위기가 있는가 없는가, 확신이 있는가 없는가로 총 4가지의 유형을 제시했다. 이를 보기좋게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마샤의 청소년 정체감 유형 4가지 구분 확신 O X 위기 O 성취형 유예형 X 폐쇄형 혼미형 .. 2019. 6. 12.
중핵중심 교육과정 (Feat. 교과중심 교육과정, 경험중심 교육과정) 중핵중심 교육과정은 교과중심 교육과정과 경험중심 교육과정을 적절히 절충한 것입니다. 그렇다면 교과중심 교육과정과 경험중심 교육과정을 간략히 살펴봅시다. 교과중심 교육과정 교과중심 교육과정은 인류가 그동안 축적해 놓은 지식을 전수하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그러나 인류가 쌓아놓은 지식은 너무나 방대하기에 이를 가르치는 것도, 받아들이는 것도 많은 힘이 필요하죠. 그래서 가장 쉽게 가르칠 수 있는 '강의법'을 택합니다. 강의법은 지식의 체계적 전수에는 이만한 것이 없지만, 학습자 입장에서는 너무 지루하죠. 경험중심 교육과정 경험중심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흥미와 욕구를 기반으로 한 능동적인 경험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학습자는 직접 경험을 하면서 배워나가는 존재로 받아들여집니다. 그래서 미리 정해.. 2019. 6. 11.
공식적 교육과정, 잠재적 교육과정, 영 교육과정 교육과정을 기본적으로 분류하는 방식에는 공식적교육과정, 잠재적 교육과정, 영 교육과정이 있습니다. 먼저 공식적 교육과정과 잠재적 교육과정을 비교하고, 영 교육과정을 추가적으로 이해하면 받아들이기 쉽습니다. 1. 공식적 교육과정과 잠재적 교육과정 공식적 교육과정은 계획하고, 의도한 교육과정입니다. 형식적이고, 문서화 되어있는 교육과정입니다. 과목이 정해져있으며, 과목마다 범위가 있고 계열이 일정한 지침으로 내려져, 각각의 성취 수준과 평가 방법 등이 상세히 명문화 되어있습니다. 이를 토대로 교사는 교실에서 수업활동을 펼칩니다. 반면, 잠재적 교육과정은 계획하지도, 의도하지도 않았으나 학생이 은연중에 학습한 것입니다. 석차표기를 통해 학생들이 은연중에 경쟁의식을 배우거나, 높은 교단에 대한 인식으로 은연중에.. 2019. 6. 9.
청소년 비행문화론: 사회통제이론, 낙인이론, 머튼의 아노미이론, 차별적 접촉이론, 비행 하위문화론 청소년의 비행을 설명하는 이론에는 크게 5가지가 있다. 사회통제이론, 낙인이론, 머튼의 아노미이론, 차별적 접촉이론, 비행 하위문화론 차례대로 한번 알아보자 1. 사회통제이론 사회통제이론의 핵심은 "자신을 규제하는 어떤 것이 깨짐으로 해서 비행 문화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자신을 규제하는 것은 외적 규제와 나눌 수 있다. 외적 규제는 법에 의한 규제이다. 청소년이 법의 존재를 알고 있고, 법이 두려워서 자신의 행동에 통제를 가하는 것이다. 내적 규제는 심리적 요인에 의한 규제이다. 청소년이 주변인의 (특히 부모님) 관심과 사랑을 많이 받고 있고, 이들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기 위해 자신의 행동에 통제를 가하는 것이다. 2. 낙인이론 낙인이론의 핵심은 "사소한 잘못도 낙인이 붙여져서 부정적 자아를 형성하게 .. 2019. 6. 6.
브루디외의 문화재생산론과 문화자본 그리고 아비투스 이 그림을 보고 피카소의 위대함을 머리가 아니라 가슴으로 깨달을 수 있다면, 당신은 엄청난 미술적 문화자본을 가진 사람일지도 모른다. 브루디외의 문화자본 개념을 이해하려면 자본의 개념을 먼저 익히고 있어야 한다. 1. 자본의 개념과 종류 여기서 말하는 자본이란, 물물교환의 가치를 지녀서 자신이 원하는 다른 것을 획득할 수 있게 해주는 수단. 자본의 종류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 재정자본, 사회자본, 문화자본 재정자본은 우리가 흔히 하는 '돈', '수입' 즉 더 나은 교육 서비스의 선택과 사교육을 받을 수 있게 해 준다. 사회자본은 두 가지로 나뉜다. 가정을 중심으로 해서 가정 외적, 가정 내적으로 나뉜다. 가정 내적 사회자본은 말 그대로 가족이다. 가족이 얼마나 나은 학력, 교육 수준이 있는가, 지식수준.. 2019. 6. 3.
교육 평등관의 유형; 허용, 보장, 과정, 결과 제가 좋아하는 사진입니다. 왼쪽 사진에는 모두가 같은 개수의 상자를 가지고 있지만, 그래도 한명은 경기를 보지 못하죠. 반면 오른쪽에는 모두가 같은 높이에서 경기를 볼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 세 사람 모두는 경기장 밖에서 봐야하는 처지이지요. 생각할 거리가 많은 사진입니다. 교육과 자신이 속하게 될 계층은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누가 교육을 받을 수 있는가, 그 교육은 어떠한가, 차이는 존재하는가에 따른 평등의 논의가 이어집니다. 교육 평등관은 크게 허용적 평등, 보장적 평등, 과정적 평등, 결과적 평등의 순서로 논의되어 왔습니다. 1. 허용적 평등 허용적 평등은 기존의 제도적 차별을 전제합니다. 여성이나 흑인과 같이 애초에 교육을 받지 못하는 사람을 법적으로 허용 해주는 것을 말합니다. .. 2019. 5.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