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적 교육과정, 잠재적 교육과정, 영 교육과정
교육과정을 기본적으로 분류하는 방식에는 공식적교육과정, 잠재적 교육과정, 영 교육과정이 있습니다. 먼저 공식적 교육과정과 잠재적 교육과정을 비교하고, 영 교육과정을 추가적으로 이해하면 받아들이기 쉽습니다. 1. 공식적 교육과정과 잠재적 교육과정 공식적 교육과정은 계획하고, 의도한 교육과정입니다. 형식적이고, 문서화 되어있는 교육과정입니다. 과목이 정해져있으며, 과목마다 범위가 있고 계열이 일정한 지침으로 내려져, 각각의 성취 수준과 평가 방법 등이 상세히 명문화 되어있습니다. 이를 토대로 교사는 교실에서 수업활동을 펼칩니다. 반면, 잠재적 교육과정은 계획하지도, 의도하지도 않았으나 학생이 은연중에 학습한 것입니다. 석차표기를 통해 학생들이 은연중에 경쟁의식을 배우거나, 높은 교단에 대한 인식으로 은연중에..
2019. 6. 9.
청소년 비행문화론: 사회통제이론, 낙인이론, 머튼의 아노미이론, 차별적 접촉이론, 비행 하위문화론
청소년의 비행을 설명하는 이론에는 크게 5가지가 있다. 사회통제이론, 낙인이론, 머튼의 아노미이론, 차별적 접촉이론, 비행 하위문화론 차례대로 한번 알아보자 1. 사회통제이론 사회통제이론의 핵심은 "자신을 규제하는 어떤 것이 깨짐으로 해서 비행 문화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자신을 규제하는 것은 외적 규제와 나눌 수 있다. 외적 규제는 법에 의한 규제이다. 청소년이 법의 존재를 알고 있고, 법이 두려워서 자신의 행동에 통제를 가하는 것이다. 내적 규제는 심리적 요인에 의한 규제이다. 청소년이 주변인의 (특히 부모님) 관심과 사랑을 많이 받고 있고, 이들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기 위해 자신의 행동에 통제를 가하는 것이다. 2. 낙인이론 낙인이론의 핵심은 "사소한 잘못도 낙인이 붙여져서 부정적 자아를 형성하게 ..
2019. 6. 6.
교육 평등관의 유형; 허용, 보장, 과정, 결과
제가 좋아하는 사진입니다. 왼쪽 사진에는 모두가 같은 개수의 상자를 가지고 있지만, 그래도 한명은 경기를 보지 못하죠. 반면 오른쪽에는 모두가 같은 높이에서 경기를 볼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 세 사람 모두는 경기장 밖에서 봐야하는 처지이지요. 생각할 거리가 많은 사진입니다. 교육과 자신이 속하게 될 계층은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누가 교육을 받을 수 있는가, 그 교육은 어떠한가, 차이는 존재하는가에 따른 평등의 논의가 이어집니다. 교육 평등관은 크게 허용적 평등, 보장적 평등, 과정적 평등, 결과적 평등의 순서로 논의되어 왔습니다. 1. 허용적 평등 허용적 평등은 기존의 제도적 차별을 전제합니다. 여성이나 흑인과 같이 애초에 교육을 받지 못하는 사람을 법적으로 허용 해주는 것을 말합니다. ..
2019. 5.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