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교육학46

위긴스와 맥타이의 "역방향(백워드) 설계모형"과 "영속적 이해" 1. 역방향 설계모형 교육과정 역방향(백워드) 설계모형은 기존의 교육과정 설계모형에서 반대로 한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기존의 교육과정 설계모형은 타일러가 제시한 모형을 따르는데, 순서가 이렇습니다. 목표설정 - 내용선정 - 내용조직 - 평가 반면 역방향 설계모형은 평가가 목표설정 바로 다음에 오는 것입니다. 그러면 순서가 이렇게 됩니다. 목표설정 - 평가도구개발 - 내용(학습경험)선정/조직 만약 무엇이 시험에 나오는 지도 모르는데 마냥 공부를 하라면 굉장히 혼란스럽겠죠? 그래서 먼저 평가를 어떻게 할 것인지 정하고 나서, 평가할 항목에 맞게 공부할 내용을 정하라는 겁니다. 그렇게 하면 학습자의 목표도달도를 높힐 수 있기 때문에 주로 수월성 교육, 즉, 학업성취를 중요시하는 교육일 때 많이 사용되지요. 2.. 2019. 5. 31.
구성주의와 조나센의 구성주의 학습환경 설계 KEY WORDS 구성주의, 인지적 구성주의, 사회적 구성주의, 학습환경 설계, 모델링, 코칭, 스캐폴딩, 동화-조절-평형화, 근접발달영역 구성주의 2줄 요약 구성주의의 핵심은 '지식은 학습자가 스스로 만들어 낸다는 것'. 따라서 교사는 더이상 지식을 '주입'하지 않고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부딪히며 배워나갈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주된 임무. 구성주의에는 인지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구성주의가 있다. 인지적 구성주의 인지적 구성주의는 피아제의 이론으로 동화, 조절, 평형화 과정을 통해 지식을 구성해 나간다는 것. 새로운 item이 발견되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인지도식(schema)에 따라 동화 과정을 거친다. 이는 다시말하면, 새로운 지식을 자신이 기존에 알고있는 방식으로 이해하려고 하는 노력이다. 예를 들면,.. 2019. 5. 29.
반두라의 관찰학습 Key words 대리강화, 주의집중-파지-재생-동기화, 자기주도성과 자아효능감 반두라는 행동주의와 인지주의의 과도기에 있다. 기존의 행동주의가 반드시 자극과 반응(강화)을 통해서만 학습된다고 보았다면, 반두라는 반드시 꼭 그럴 필요는 없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대리강화와 관찰의 효과 '대리강화'라는 개념이 핵심인데, 예를 들면 '타산지석'이라는 말처럼, 창문을 깨는 아이가 혼이 나는 것을 보고 자신은 비록 직접적으로 혼이 나지 않았지만 이를 통해 '창문을 깨지 말아야겠다.'는 것이 학습된다는 것이다. 이렇게 '관찰의 효과'를 그는 3가지로 제시한다. 1. 새로운 반응을 학습할 수 있다. 2. 어떤 특수한 행위를 억제하거나 피하게 될 수 있다. 3. 어떤 행위를 촉진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관찰학습의 과.. 2019. 5. 28.
브루너의 발견학습과 지식의 구조 브루너(Jerome Seymour Bruner) 박사는 1915년 미국 뉴욕 출생입니다. 하버드에서 심리학 교수직을 하셨고요, 2016년 생을 마감하셨는데, 꽤나 최근이어서 놀랍네요. Key words: 교수이론, 지식의 구조, 발견학습 1. 교수이론과 학습이론 브루너 박사는 교수이론과 학습이론의 차이를 제시했습니다. 교수이론은 처방적, 규범적, 직접적인 성격을 지니는 반면, 학습이론은 기술적, 간접적입니다. 이 말이 무슨 뜻이냐 하면, 교수이론은 'A라는 조건 하에서 B라는 결과를 얻으려면 C라는 교수 방법을 행해야 한다.'라는 주장을 한다면, 학습이론은 'A라는 조건하에서 C라는 교수 방법을 행했더니 B라는 결과가 나왔다.'에 주목합니다. 즉, 교수이론은 마치 의사가 환자에게 처방을 내리듯이 '제안'.. 2019. 5.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