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교육학46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예시 & PIFS, Arts PROPEL 당시에는 '지능 = 논리/수학'이라는 공식이 만연했다. 가드너는 반드시 지능이라는 것은 한 가지 영역으로만 대변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종류의 지능이 있으며, 인간은 적어도 한 가지의 강점이 있다고 이야기했다. 가드너 다중지능의 종류 1. 언어적 지능 언어 분석력, 복잡한 어문 자료를 이해하는 능력, 은유를 이해하는 능력 ex) 책을 읽는 것을 좋아하는 학생, 작문하는 것을 좋아하는 학생, 문학작품에 소질이 있는 학생 2. 논리/수학적 지능 복잡한 추리를 하는 능력, 이론화하는 능력 ex) 수학 문제를 푸는 것을 좋아하는 학생, 원인과 결과를 통해 추론을 하는 학생, 가설 검증 방식의 과목을 좋아하는 학생 (수학, 과학 등) 3. 공간적 지능 시공간의 세계를 정확하게 지각하고 최초 지각을 전환할 수.. 2019. 6. 25.
스텐버그 지능삼원론 스텐버그는 지능의 3 원론을 제시하며, 3가지가 모두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능은 성분적 요소(구성적 지능), 경험적 요소(경험적 지능), 맥락적 요소(상황적 지능)로 나뉘는데, 한번 하나씩 살펴보자. 1. 성분적 요소 (구성적 지능) 성분적 요소는 지적 활동과 관련된 개인의 정신 과정으로, 분석능력과 관련 있다. 성분적 요소는 다시 3가지로 나뉘는데, 상위 요소, 수행요소, 지식 획득 요소가 바로 그것이다. 상위 요소(meta components) 메타인지능력이다. 문제를 해결하거나, 과제를 완수하기 위해서 나의 모든 인지적/행동적/정서적 능력을 통제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시험기간에 공부를 하기 위해서 전체 분량을 확인하고, 예상시간을 정해서 계획을 짠다. 암기과목의 경우 내가 직접 문.. 2019. 6. 21.
장(field) 이론과 청소년 장(field)이란, 사람이 생활하는 데에 있어서 특정 양식이 존재하는 추상적인 공간이다. 예를 들면, 가정 내, 회사 내, 학교 내, 심지어 인터넷 공간까지 모두가 '장'이다. 인간은 이러한 다양한 장의 분화에 따라 성장한다. 어렸을 때 내가 존재하는 장은 아마도 가정일 뿐일 것이다. 자라면서 학교라는 새로운 장이 생기고, 학원이라는 장이 생기고, 인터넷을 이용하기도 하면서 새로운 장이 생긴다. 인간관계의 다양성이 넓어지면서 다양한 장이 생긴다. 이렇게 장이 분화함에 따라서 성장한다. 청소년은 가정 밖으로 나와서 장이 분화되는 시기이다. 이때에 바람직한 생활양식을 갖지 못하면 부적응 행동이 발생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청소년이 존재하는 장은, 가정, 학교, 학원, 인터넷 공간 등이 있다. 각각의 장에서.. 2019. 6. 20.
켈러의 ARCS 이론 개념 및 예시 (학습동기유발 교수이론) 켈러의 ARCS이론은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 이론입니다. 기존에는 동기를 단순히 '성적'으로만 판단했습니다. '성적'이 높은 학생은 동기가 높을 것으로 생각하고, '성적'이 낮은 학생은 동기가 낮을 것이라고 여겼습니다. 그러나 이는 사실이 아니죠. 공부가 재미없어도 억지로 주입을 받아 높은 성적을 받을 수 있고, 너무나도 재미있어하는 과목인데 적절한 학습법을 몰라 성적이 낮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켈러는 동기를 학업성취도로 결정하지 말고, '학생의 노력의 정도'로 여기자고 제안합니다. ARC-S란? 학생을 스스로 공부할 수 있게끔 노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ARC를 제시합니다. A는 Attention, 호기심입니다. R은 Relevance, 관련성입니다. C는 Confiden.. 2019. 6. 19.
워커의 숙의모형 (자연주의적 모형) 0. 먼저 알아야 할 내용 교육과정을 개발 모형을 이야기할때는 일반적으로 타일러의 모형이 자주 등장합니다. 타일러는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다음과 같은 순서를 따라야 한다고 했습니다 "목표 수립 - 학습내용 선정 - 조직 - 평가" 즉 교육을 통해, 어떤 목표를 달성할 것인지를 먼저 생각하고, 그에 맞게 무엇을 배우면 좋을지 선정하고, 그것들을 어떻게 가르치면 좋을지 조직하고, 마지막에 목표가 이루어졌는지를 측정하는 단계로 진행되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1. 워커의 숙의모형 (자연주의적 모형) 워커의 숙의모형이 자연주의적 모형이라고 불리는 이유는, 워커는 타일러와 달리 실제 교육과정 개발 현장에 참여했기 때문입니다. 그는 실제 현장에서 일어나는 '자연스러운' 모습을 이론화 하였던 것이죠 그는 타일러의 4단계.. 2019. 6. 18.
에릭슨의 성격발달 단계 (심리/사회적 성격발달이론) 에릭슨의 이론에 따르면 인간은 각 단계마다 관여와 위기를 겪는다. 관여는 각 시기에 발달해야 할 것. 즉 바람직한 것이고 위기는 각 시기에 발달하지 말아야 할 것. 즉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다. 그러나 위기는 무조건 피해야 하고, 관여는 무조건 수용해야하는 것은 절대 아니다. 둘의 균형이 중요하다. 하나라도 치우치면 이상한 성격이 된다. 그의 발달 단계는 '관여 대 위기'로 나타낼 수 있다. 1. 신뢰감 대 불신감 (0-18m) 부모와 모든 시간을 같이 보낸다. 여기서 일관성 있는 보살핌을 받으면 신뢰감이 형성되고, 그렇지 않으면 불신감이 형성된다. 예를 들면, 아이가 울 때마다 가서 챙겨준다면 부모로부터 신뢰감을 형성한다. 그러나 울 때마다 종종 무시하거나 하면 불신감이 형성된다. 2. 자율성 대 수치심.. 2019. 6.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