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학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예시 & PIFS, Arts PROPEL

by 곰쌤 교실 2019. 6. 25.
반응형

당시에는 '지능 = 논리/수학'이라는 공식이 만연했다.

 

가드너는 반드시 지능이라는 것은

한 가지 영역으로만 대변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종류의 지능이 있으며,

인간은 적어도 한 가지의 강점이 있다고 이야기했다.


가드너 다중지능의 종류

1. 언어적 지능

언어 분석력, 복잡한 어문 자료를 이해하는 능력, 은유를 이해하는 능력

 

ex)

책을 읽는 것을 좋아하는 학생,

작문하는 것을 좋아하는 학생,

문학작품에 소질이 있는 학생

 

2. 논리/수학적 지능

복잡한 추리를 하는 능력, 이론화하는 능력

ex)

수학 문제를 푸는 것을 좋아하는 학생,

원인과 결과를 통해 추론을 하는 학생,

가설 검증 방식의 과목을 좋아하는 학생 (수학, 과학 등)

 

3. 공간적 지능

시공간의 세계를 정확하게 지각하고 최초 지각을 전환할 수 있는 능력

 

ex)

도형의 단면도를 보고 전체적으로 어떻게 생겼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학생,

3차원의 도형을 2차원의 단면으로 이해할 수 있는 학생,

처음 가는 길도 잘 찾아가는 학생,

 

4. 자연관찰적 지능

주변의 사물을 자세히 관찰하여 공통점이나 차이점을 찾고 분석하는 능력

 

ex)

식물을 보고 종류를 잘 파악할 수 있는 학생,

주로 사냥꾼이나 과학자에게 많이 보이는 지능

 

5. 신체/활동적 지능

자신의 신체를 완벽하게 이해하고 조절할 수 있는 능력

 

ex)

운동을 좋아하는 학생,

안무를 금방 외우는 학생

 

6. 음악적 지능

리듬, 음 높이, 음색을 만들고 감상을 할 수 있는 능력

 

ex)

절대음감을 가진 학생,

음악적 감수성이 풍부한 학생

 

7. 대인간 지능

사회환경 속 미묘한 단서를 활용하고 적절히 반응할 줄 아는 능력

ex)

사진 속 표정을 보고 어떤 감정인지 잘 파악하는 학생,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잘 들어주고 깊게 공감해주는 학생,

협동학습을 적극적으로 이끌어나갈 수 있는 학생,

많은 또래들이 좋아하는 학생

 

8. 개인내적 지능

자신의 감정에 접근할 수 있고 감정을 구별하여 행동의 방향을 결정하는 데 사용하는 능력

 

ex)

자신의 감정을 파악하여 조절할 수 있는 학생,

스트레스를 적절히 해소할 줄 아는 학생,

일기 쓰는 것을 좋아하는 학생

 

9. 실존적 지능 

철학적이고 종교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
성인이 되어 나타나는 지능으로, 아동에게는 나타나지 않는다.

ex)

또래보다 성숙한 사고/가치관을 가진 학생,

종교적 신앙심이 깊은 학생


이렇게 가드너는 9가지 유형의 지능을 제시했다.

따라서 기존의 논리/수학적 측면만 강조했던 지능의 경우,

시험을 통해서 측정이 가능했다.

 

그러나,

가드너가 제시한 지능은 종류가 너무나도 많아서

적절히 측정을 할 수가 없었다.

 

그래서 가드너의 이론을 기반으로한 교육 프로젝트는

지능을 측정하려는 시도보다,

'관찰'과 '과정 중심 평가'가 중요시된다.


다중지능 이론을 적용한 교육 프로젝트

1. 중학교: PIFS (Practical Intelligence For School)

학문적 지능, 대인 간 지능, 개인내적 지능의 얼마나 적절하게 결합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성공적인 학교생활을 할 수 있게 한다.

 

학문적 지능은,

교과목을 배우는 학교에서 학업성취에 관한 기본적인 요소이다. 

 

대인간 지능은,

다양한 계층, 성격, 유형의 학생들과 융통성 있게 어울릴 수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함이다.

 

개인 내적 지능은,

자아 정체감을 형성할 시기로,

학생들이 얼마나 자기 스스로에 대해 접근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2. 고등학교: Arts PROPEL

고등학교 예술 교육과정 및 평가 프로그램이다.
두 가지에 초점을 두고 있다. 영역 프로젝트와, 프로세스 폴리오가 바로 그것이다.

 

영역 프로젝트

음악, 미술, 작문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프로젝트를 실시하여 관련 분야의 능력을 개발한다.

 

프로세스 폴리오

단순히 프로젝트 결과만을 보고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구상에서부터 완성품이 나올 때까지 전 과정을 그대로 보여줄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평가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