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17

에릭슨의 성격발달 단계 (심리/사회적 성격발달이론) 에릭슨의 이론에 따르면 인간은 각 단계마다 관여와 위기를 겪는다. 관여는 각 시기에 발달해야 할 것. 즉 바람직한 것이고 위기는 각 시기에 발달하지 말아야 할 것. 즉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다. 그러나 위기는 무조건 피해야 하고, 관여는 무조건 수용해야하는 것은 절대 아니다. 둘의 균형이 중요하다. 하나라도 치우치면 이상한 성격이 된다. 그의 발달 단계는 '관여 대 위기'로 나타낼 수 있다. 1. 신뢰감 대 불신감 (0-18m) 부모와 모든 시간을 같이 보낸다. 여기서 일관성 있는 보살핌을 받으면 신뢰감이 형성되고, 그렇지 않으면 불신감이 형성된다. 예를 들면, 아이가 울 때마다 가서 챙겨준다면 부모로부터 신뢰감을 형성한다. 그러나 울 때마다 종종 무시하거나 하면 불신감이 형성된다. 2. 자율성 대 수치심.. 2019. 6. 14.
마샤(Marcia)의 청소년 정체감 유형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성격발달이론과 함께 언급되곤 하는 마샤의 정체감 유형 에릭슨 관련 포스트는 맨 아래에 있다. 마샤는 청소년의 정체감 유형을 나누는 기준으로 2가지를 제시했다. 바로, '위기'와 '확신'이다. 위기는 '얼마나 미래에 대해서 고민했는가?'이다. 여러 직업이나 신념 등을 능동적으로 탐구해보고 선택하려고 했던 횟수가 바로 위기이다. 확신은 '그래서 결정을 했는가?'이다. 그 여러번의 횟수 중에서 결정을 해서, 그 직업이나 신념에 몰두하고 있는 정도가 바로 확신이다. 그래서 마샤는 위기가 있는가 없는가, 확신이 있는가 없는가로 총 4가지의 유형을 제시했다. 이를 보기좋게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마샤의 청소년 정체감 유형 4가지 구분 확신 O X 위기 O 성취형 유예형 X 폐쇄형 혼미형 .. 2019. 6. 12.
중핵중심 교육과정 (Feat. 교과중심 교육과정, 경험중심 교육과정) 중핵중심 교육과정은 교과중심 교육과정과 경험중심 교육과정을 적절히 절충한 것입니다. 그렇다면 교과중심 교육과정과 경험중심 교육과정을 간략히 살펴봅시다. 교과중심 교육과정 교과중심 교육과정은 인류가 그동안 축적해 놓은 지식을 전수하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그러나 인류가 쌓아놓은 지식은 너무나 방대하기에 이를 가르치는 것도, 받아들이는 것도 많은 힘이 필요하죠. 그래서 가장 쉽게 가르칠 수 있는 '강의법'을 택합니다. 강의법은 지식의 체계적 전수에는 이만한 것이 없지만, 학습자 입장에서는 너무 지루하죠. 경험중심 교육과정 경험중심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흥미와 욕구를 기반으로 한 능동적인 경험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학습자는 직접 경험을 하면서 배워나가는 존재로 받아들여집니다. 그래서 미리 정해.. 2019. 6. 11.
똑똑하게 복습하기 모래 위에 그린 그림은 곧 바닷물에 지워진다. 씻겨져 나가기 전에 다 그려야 한다. 우리의 기억은 이런 과정을 거쳐서 장기기억으로 저장된다. 자극 - "주의집중" - 단기 기억 - "시연/부호화" - 장기기억 자극이 있으면 주의집중을 해야 단기 기억으로 넘어온다. 주의집중 조차 안 하면 뇌 속으로 들어오지도 않는다. 길을 지나가다가 보이는 수많은 간판들. 주의집중하지 않으면 무슨 가게가 있었는지 보이지도 않는 것처럼. 그렇게 단기 기억으로 넘어왔다고 해서 방심할 수는 없다. 15초면 사라진다. 마치 모래 위에 그리는 그림처럼, 그림이 채 완성되기도 전에 바닷물이 휩쓸고 지나가 다 지워버린다. 우리는 그 15초 안에 "시연과 부호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시연은 반복하는 것이다. 부호화는 자신이 아는 친숙.. 2019. 6. 10.
공식적 교육과정, 잠재적 교육과정, 영 교육과정 교육과정을 기본적으로 분류하는 방식에는 공식적교육과정, 잠재적 교육과정, 영 교육과정이 있습니다. 먼저 공식적 교육과정과 잠재적 교육과정을 비교하고, 영 교육과정을 추가적으로 이해하면 받아들이기 쉽습니다. 1. 공식적 교육과정과 잠재적 교육과정 공식적 교육과정은 계획하고, 의도한 교육과정입니다. 형식적이고, 문서화 되어있는 교육과정입니다. 과목이 정해져있으며, 과목마다 범위가 있고 계열이 일정한 지침으로 내려져, 각각의 성취 수준과 평가 방법 등이 상세히 명문화 되어있습니다. 이를 토대로 교사는 교실에서 수업활동을 펼칩니다. 반면, 잠재적 교육과정은 계획하지도, 의도하지도 않았으나 학생이 은연중에 학습한 것입니다. 석차표기를 통해 학생들이 은연중에 경쟁의식을 배우거나, 높은 교단에 대한 인식으로 은연중에.. 2019. 6. 9.
청소년 비행문화론: 사회통제이론, 낙인이론, 머튼의 아노미이론, 차별적 접촉이론, 비행 하위문화론 청소년의 비행을 설명하는 이론에는 크게 5가지가 있다. 사회통제이론, 낙인이론, 머튼의 아노미이론, 차별적 접촉이론, 비행 하위문화론 차례대로 한번 알아보자 1. 사회통제이론 사회통제이론의 핵심은 "자신을 규제하는 어떤 것이 깨짐으로 해서 비행 문화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자신을 규제하는 것은 외적 규제와 나눌 수 있다. 외적 규제는 법에 의한 규제이다. 청소년이 법의 존재를 알고 있고, 법이 두려워서 자신의 행동에 통제를 가하는 것이다. 내적 규제는 심리적 요인에 의한 규제이다. 청소년이 주변인의 (특히 부모님) 관심과 사랑을 많이 받고 있고, 이들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기 위해 자신의 행동에 통제를 가하는 것이다. 2. 낙인이론 낙인이론의 핵심은 "사소한 잘못도 낙인이 붙여져서 부정적 자아를 형성하게 .. 2019. 6.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