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17

전공영어 중요도 파악 및 영역 분류표 (2021기출 반영) 제가 공부했던 자료들을 혹시 공유해주실 수 있는지 많은 분들이 댓글로 문의해주셨습니다. 이에 대해 한분 한분 답변드리지 못해 죄송할 따름입니다. 요즘 코로나 바이러스 때문에 개학도 연기되고 정신이 없네요 :) 아무쪼록 가장 문의가 많았던 "전공영어 영역 분류표"를 공유합니다. 저는 출제 유형이 크게 변화하는 시기에 따라서 중요도를 다르게 부여하였습니다. 임용은 한국어 단답&서술형에서 영어 객관식 시절을 거친 뒤 지금의 영어 서술/논술형으로 변화하였는데요, 최근으로 올 수록 이전 시기 보다 1.5배의 중요도를 더 두었습니다. 예를 들면, 한국어 단답&서술형이 4점이라면 영어 객관식 시절은 6점, 영어 서술/논술형으로 출제된 문제는 9점. 이렇게 중요도 점수를 부여하였습니다. 저는 루이스 책을 기반으로 하여.. 2020. 3. 3.
2020 영어임용 초수 합격수기 (1차) (5편: 기간별 전략, 글을 마치며) 기간별 전략 1~2월: 출발선 파악 및 계획 수립 저는 기출을 먼저 쭉 풀어본 뒤, 어느 부분이 부족한지 파악하였습니다. 부족한 부분을 바탕으로 강의를 신청하거나 원서 정독 계획을 세웠습니다. 교육학은 김현 선생님의 강의를 듣고, 영교론은 박현수 선생님의 강의를 수강하였습니다. 음운론은 AEP를 정독하였고, 통사론은 Transformational grammar를 읽었으나, 기출을 푸는 데에는 큰 문제가 없었으므로 70%정도 읽은 후 중단하였습니다. 대신 그 시간에 ‘Word Smart’라는 단어책을 사서 단어를 외웠습니다. Quizlet을 이용하여 단어를 외웠는데, 짧은 시간동안 효과적으로 외웠던 것 같습니다. 그러나 어휘 공부를 한 것이 임용시험 자체에 크게 도움이 되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ㅠㅠ 저는 .. 2020. 2. 16.
2020 영어임용 초수 합격수기 (1차) (3편: 영역별 전략) 영역별 전략 교육학 (점수: 18/20) 교육학은 김현 선생님의 1년 커리큘럼을 따라갔습니다. 기출을 보니, 제가 지금까지 들었던 교직 수업을 다시 정리하면서 공부하는 방식보다, 강사의 커리큘럼을 따라가는 것이 훨씬 더 적합하고 효율적이라고 느껴졌습니다. 저는 김현 선생님의 기본 교재를 바탕으로 강의를 들으며 꼬박꼬박 복습 겸 서브노트를 워드로 작성하였습니다. 서브노트가 어느정도 체계를 잡고 정교화되면, 암기 단계로 들어갔습니다. 암기를 할 때에는 서브노트를 바탕으로 하여 학습지를 만들었습니다. 먼저 키워드를 중심으로 빈칸을 뚫어서 서브노트를 반복해서 읽으면서 채워 넣는 방식으로 하였고, 키워드가 익숙해지면 핵심 개념, 장단점, 원리 등 서술해야 하는 부분도 빈칸으로 만들어서 작성하는 방식으로 하였습니다.. 2020. 2. 16.
2020 영어임용 초수 합격수기 (1차) (2편: 공부방식, 방향, 강도 설정) 본격적으로 시험 준비를 시작하기 전: 공부방식/방향/강도 설정 공부방식: Noticing the Gap 저는 공부방식으로 원서나, 강의에 따른 커리큘럼을 따르지 않고, 철저히 ‘내가 모르는 것을 발견’하고, ‘그것을 채우기 위한 방식’으로 진행하였습니다. 영교론에서 ‘자신이 모른다는 사실을 깨닫는 것’을 ‘Noticing the Gap’이라고 하는데요, 저는 이 개념이 제 공부방식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표현인 것 같습니다. 제일 처음, 저의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3~5개년치 기출을 풀어보았습니다. 기출을 통해서 제가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 진단을 하였고, 그 부분을 채우기 위해서 원서 발췌, 강의 수강, 단어 암기 심지어는 구글 논문 검색 등을 통해서 적극적으로 Gap을 채우려고 노력하였습니다. 이.. 2020. 2. 16.
2020 영어임용 초수 합격수기 (1차) (1편: 소개, 영어실력) 총점: 81.33/100, 교육학: 18/20, 전공: 63.33/80 소개 시작하기 전에 안녕하세요! 저는 부산지역에 응시하여 2020년 영어임용시험에서 초수로 합격하였습니다. 저는 시간이 많이 남지 않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최대한 효율적으로 공부하려고 하였습니다. 왜냐하면 1학기에 20학점가까이 학부를 병행하여야 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최대한 짧은 시간 내에 최고의 결과를 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저는 하루 평균 8시간 정도 공부하였고, 총 공부한 기간은 7개월입니다. 저의 공부법이 정석적인 방법은 아니겠지만, 만약 저와 같은 상황에 놓인 수험생 여러분들께 저의 수기가 조금이나마 공부 방향과 전략에 도움이 된다면 좋겠습니다. ㅎㅎ 사실 1차 합격수기를 쓰는 것에 대해서 고민을 .. 2020. 2. 16.
2020 영어임용 2차 심층면접 복기 (문제&답안) 심층면접 (점수: 39.7/40) 구상형1. 다음 상황에서 교사의 문제점 3가지와 해결책 3가지를 제시하시오. (영어) 교사A가 학생에게 피드백을 받았는데 다음과 같았다. “수행평가가 너무 많아서 피곤해요”, “다른 선생님들도 비슷한 시기에 수행평가를 해서 너무 정신이 없어요”, “수행평가가 왜 중요한지 모르겠어요. 차라리 지필평가만 했으면 좋겠어요.” 답변: Now, I’ll begin to answer #1. There are three problems in the given situation. The first one is that there are too many performance assessments conducted. It is important to have adequate number .. 2020. 2.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