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나도 다양한 가치들이
공존하는 현대사회
무엇이 옳고 그른지,
무엇을 추구해야 하는지,
그리고 과연 절대적인 가치는
존재하는 것인지
오늘의 내가 맞다고 생각한 것이
내일도 과연 맞을지
아무도 확신할 수 없다.
이렇게 다양한 가치들이
존재하는 사회 속에서
방향을 잃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레스는 '가치 명료화'라는
개념을 통해 이를 설명한다.
가치 명료화에는
다음과 같은 단계가 있다.
가치 명료화의 단계
1. 다양한 가치의 탐색
먼저 가치를 선택하기 전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가치를
알아보고 탐색하는
과정이 존재해야 한다.
2. 가치 선택
탐색된 가치를
수평적으로 놓고
선택의 과정을 거친다.
3. 선택된 가치의 검토
자신이 선택한 가치가
미래에 어떤 효과를 가지는지
자신의 삶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4. 가치 존중
자신이 선택하고, 검토한 가치를
진정으로, 스스로 인정하고
즐거워할 수 있어야 한다.
5. 가치의 재확인
자신이 선택한 가치를
타인 앞에서
긍정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자신이 선택한 가치가
부끄러워서
남들 앞에서 떳떳하게
말할 수 없다면
가치의 재확인 단계에
들어서지 못한 것이다.
6. 가치 실천
자신이 선택하고,
타인 앞에서 긍정한 가치를
추구하면서 살아간다.
명예를 좇아서 선택한 가치로
부를 좇아서는 안 된다.
반대로 부를 좇아서 선택했다면
이를 통해 명예를 얻을 수 없다.
자신이 봉사의 가치를 숭고히 하여
이를 선택했다면,
다른 가치를 추구하는 것은,
자신이 스스로 선택한 가치를
실천하고 있지 못한 것이다.
7. 가치의 반복 실천
위와 같은 실천 행위를
반복해서 행동한다.
교사의 행동
다양한 가치가 존재하는 세상 속
자아가 확립되지 않은 학생들.
이를 마주하는 교사들에게는
'가치'에 대한 교육은
그 어떤 것 보다도 중요할 것이다.
먼저,
편견에 사로잡힌 태도를 버려야 한다.
교사가 편견을 가지면
학생들의 가치 선택 행위가
올바르게 실천될 수 없다.
자신의 교육적 태도가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반성적으로 검토한다.
학생은 교사의 교육활동 외에도,
교사의 태도, 언행, 인품 등에도
큰 영향을 받는다.
무의식적으로 자신이
특정한 가치를 주입하고 있지는 않은지
항상 반성적으로 고민해야 한다.
가치에 대하여,
학생들의 발언 기회를 보장한다.
가치에 대한 주제가 나올 때는
교사의 참여를 최소화하고
학생의 참여를 최대화한다.
그 과정에서
학생의 다양한 가치를 존중하고,
학생들은 자신의 가치를 확립한다.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수벨의 유의미 학습 & 예시 (0) | 2019.10.21 |
---|---|
인지적 유연성(융통성) 이론 (0) | 2019.10.16 |
듀이와 진보주의 교육론의 기본 원리 (0) | 2019.09.07 |
게슈탈트 상담이론: 문제행동 원인 (0) | 2019.08.22 |
푸코와 규율적 권력 그리고 판옵티콘, 예시 (0) | 2019.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