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학

민츠버그의 전문적 관료제

by 곰쌤 교실 2019. 7. 26.
반응형

학교는 다른 관료제 조직과

다른 독특한 특성을 지닌다.

 

민츠버그는 이를

"전문적 관료제"

라고 말한다.

 

전문적 관료제란,
해당 조직이
전문적 조직과,
관료제적 조직의 특성
모두가 동시에 나타나는
형태를 말한다.

그렇다면,

학교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점은 관료제 같은지,

어떤 점은 전문직 같은지,

한번 알아보자.


관료제적 특성

 

1. 직급의 서열화

 

학교에서는

교장-교감-교사로

행정적 직급이 나뉜다.

 

비록,

평교사들의 숫자가 지배적이고,

그들은 모두 동등하므로,

다른 일반적 관료제 조직처럼

피라미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그러나 공식적으로

행정상 직급은

구분되어 있다.

 

2. 규칙과 규정

 

학교에서는

규칙과 규정이 정해져 있다.

학칙이 있는 반면,

교사들의 행동 지침도

업무 수행도 규칙이 있다.

 

3. 업무분장 및 분업화

 

학교에서는

교사들은 각각 여러 부서로

나뉘어서 학교의 일을 담당한다.

 

교사는 단순히 학생을

가르치는 것뿐만 아니라,

학교의 전반적인 관리까지

모두 책임진다.

 

여기서 각각의 부서로 나뉘어

각자의 업무분장 아래

분업화가 이루어진다.

 

이는 분업을 통한 효율성 극대화를

추구하는 관료제적 조직의 특징이다.


전문적 특성

 

1. 교수방법의 자율성

 

그 누구도

해당 교사의 수업 방식에 대해서

통제하고 명령하고, 지시할 수 없다.

 

비록 다양한 장학의 형태로

지도/조언 활동은 존재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해당 교사의

전문적 능력을 향상하기 위함으로,

특정 교사의 자율성을

침해하는 행위가 아니다.

 

2. 학급경영의 자율성

 

해당 교실의 학생들은

전적으로 담임의 재량이다.

 

1반 선생님이

2반의 학급경영에 대해

간섭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학교에 학급이 30개가 있다면

30개의 학급 모두

자율적으로, 독립적으로

교사의 개성에 따라 운영된다.

 

3. 의사결정에의 참여 보장

 

보통 관료제적 조직은

상급 직책에 있는 조직원이

더 많은 책임과 권한을 지니고

의사결정을 내린다.

 

그러나 학교에서는

다양한 위원회,

협의회가 존재하여

아무리 교장이라도 독단적으로

결정을 내릴 수 없다.

 

교사들은 학교 운영에 있어서

민주적 절차를 걸쳐서

참여의 기회를 보장받는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