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학

타당도: 내용타당도, 안면타당도, 예언타당도, 공인타당도, 구인타당도

by 곰쌤 교실 2019. 7. 20.
반응형

타당도란,

평가에서 측정하려고 하는

그 대상을 얼마나 올바르게

측정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도이다.

 

예를 들면,

귤을 1kg를 재려고 하는데,

저울을 가져와서 재지 않고,

줄자를 가져와서 둘레를 재는 것은

타당도에 맞지 않다.

 

시험을 보는 데,

일차 함수를 가르쳐놓고,

이차 함수에 대한 지식을 묻는 것은

타당도가 낮은 시험이다.

 

마찬가지로,

수학 시험을 보는데

문제가 영어로 되어 있다면,

수학 실력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영어 읽기 능력에 점수가 좌우되므로

타당하지 않다.

 


이런 타당도의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대표적인 것 몇 개만 살펴본다.

 

1. 내용타당도

 

내용 타당도는
전문가가 판단하는 것이다.
전문가가 문항이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을 잘 측정하고 있는지를 평가한다.

 

보통 현장에서는

문항이 이원 분류표에 맞게

작성되었는지를 보고

타당도를 평가한다.

 

전문가의 사견에

의존하기 때문에

사람마다 평가가

다르게 내려질 수 있고,

 

수치화되지 않아서,

두 개의 시험지가 있을 때

무엇이 더 타당한지 비교할 수 없다.


2. 안면 타당도

 

안면 타당도는,
피험자들이 주관적으로
체감하는 타당도이다.

 

수업시간에 배운 것이

시험 문제로 나온 것을

느낄 수 있을 때,

안면 타당도가 높아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업시간에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특정 건물의 높이를

재보는 활동을 하였고,

 

그것이 그대로

시험에 출제되었다면

이 시험은

안면타당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3. 예언 타당도

 

예언 타당도는,
현재의 시험이
미래의 특정한 것을
얼마나 정확히 예측하는지에 대한
수치이다.

 

대표적인 예로 수능이 있다.

대학 수학능력시험은

피험자가 미래에

대학교에 입학하여

얼마나 학업을

잘 이어나갈 수 있을지 예측한다.

 

수능 점수와

대학교 학업 능력을 비교하여,

얼마나 잘 예측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예언 타당도는

시험을 치르는 시점에서

측정할 수 없다는

치명적인 약점이 있다.

 

미래에 그 시험이

측정하고자 했던 그 특성이

나타날 때까지 기다린 후에야

비로소 예언 타당도가 측정된다.


4. 공인 타당도

 

공인 타당도는,
이 시험이 얼마나
기존의 시험과 닮아 있는지를
측정한 것이다.

 

기존에 시험 A가 있다.

그리고 새로운 시험 B가 있다.

 

B는 A와 많이 닮아있다면,

 

A가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B 역시 잘 측정하고 있다면,

 

B는 A에 대한 공인 타당도가 높다.

 

이렇게 공인 타당도는

항상 기존의 평가에 의존하게 된다.

 

"그러면 기존의 평가를

사용하면 되지,

왜 굳이 공인 타당도를

따져가면서 새로운 시험을

만들어야 하는지

의문을 가질 수 있다."

 

해당 평가가 많은 비용이 들 때,

아니면

평가가 자주 이루어지지 않을 때,

공인 타당도를 사용한다.

 

사실 우리는 수많은

공인 타당도를 접해왔다.

 

바로 모의고사이다.

 

모의고사가 본시험과

얼마나 닮아있는가는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5. 구인 타당도

 

구인 타당도는,
조작적으로 정의된 특성에서
그 조작적 정의가
측정하고자 하는 특성과
유의미한 관련이
얼마나 있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학생의 영어 실력을

측정하고자 한다.

 

영어 실력을

정의할 수 있는 방법은

정말 많지만,

 

A라는 시험은

듣기와 읽기로 판단하고,

 

B라는 시험은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로 판단한다.

 

A라는 시험에서

영어실력은,

듣기와 읽기 실력으로

조작적으로 정의되었다.

 

B라는 시험에서는

영어실력은,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로

정의되었다.

 

이렇게 조작적으로,

즉,

임의적으로 정의된 내용이,

실제로 측정하고자 하는 것인

'영어실력'과

얼마나 관련성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구인 타당도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