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공영어

[영어교육론] Transfer, Interference, Overgeneralization

by 곰쌤 교실 2019. 7. 31.
반응형

Transfer은 '전이'이다.

'전이'는 교육학에서도

아주 중요한 개념이다.

 

전이에 대해서는

따로 포스팅해둔 것이 있으니,

여기를 먼저 보고 오길 추천한다.

 

브루너의 발견학습과 지식의 구조

브루너(Jerome Seymour Bruner) 박사는 1915년 미국 뉴욕 출생입니다. 하버드에서 심리학 교수직을 하셨고요, 2016년 생을 마감하셨는데, 꽤나 최근이어서 놀랍네요. Key words: 교수이론, 지식의 구조, 발견학습..

brainlibrary.tistory.com


'전이'는 기존의 지식이

새로운 상황에 적용되는 것이다.

 

영어 교육론에서 '전이'란,

두 가지 경우를 이야기한다.

 

1)

학습자의 모국어(L1)가

목표 언어(Target Language, TL) 학습에

영향을 끼치는 경우

 

2)

목표언어에 대한 규칙 자체가

새로운 규칙 학습에

영향을 끼치는 경우


1)의 경우를 언어 '간' 전이라고 하여,

Interlingual transfer이라고 한다.

 

2)의 경우는 언어 '내' 전이라고 하여,

Intralingual transfer이라도 한다.


Interlingual transfer

먼저 살펴보자면,

 

Interlingual transfer은

모국어 지식 때문에,

목표언어 학습에 영향을

끼치는 것이다.

 

영어와 한국어에는

공통점이 있고 차이점이 있으니,

 

공통점은 도움이 되겠으나,

차이점은 학습하는 데 어려울 것이다.

 

예를 들면,

You didn't eat anything yesterday, did you?

(너 어제 뭐 안 먹었지, 그렇지?)

라고 물어본다면,

 

'뭐라도 먹었을 경우'에는

'응, 안 먹었어'라고

대답할 것이다.

 

이를 영어로 직접 번역하면

'Yes, I didn't eat anything.'인데,

실제로 영어에서 이는 비문이다.

 

영어에서 Yes/No 대답은,

전체 상황에 대한 긍정/부정이므로

'No, I didn't eat anything.'

이 맞다.

 

그러나 한국어 학습자는

모국어의 영향 때문에

위와 같은 오류를 범하기 쉽다.

 

이는 언어'간' 전이 때문이며,

특히 오류를 생산할 때에는

'간섭, Interference'라고 한다.


Intralingual transfer의

경우를 살펴보자.

 

Intralingual transfer은

영어 자체의 규칙 때문에

새로운 규칙 학습에 영향을

끼치는 것이다.

 

예를 들면,

walk-walked

play-played

rain-rained

...

가 있다.

 

그리고 'go'를 물어본다.

그러면 학습자는

'goed'라고 오류를 범한다.

 

이 경우는,

학습자의 모국어 때문이 아니라,

영어 자체의 과거 동사 규칙 '-ed'를

'go'에도 적용해서 그렇다.

 

사실 'go'는 불규칙 동사로,

'went'가 맞지만,

기존의 '-ed'규칙을 알고 있는

학습자는,

불규칙 동사의 규칙을 학습할 때

위와 같은 선험 지식이 전이된다.

 

이러한 언어'내'전이가

오류를 생산할 때,

'과잉 일반화,

Overgeneralization'라고 한다.



전이는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고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모국어와 목표언어의

유사성이 높으면

아무래도 긍정적 언어'간' 전이가

많이 일어나고,

 

또 목표언어 자체가

예외 규칙이 많이 없다면

긍정적 언어'내' 전이가

많이 일어낼 것이다.

 

이렇게 전이는

목표언어 학습에

도움이 되는가,

피해가 되는가에 따라서

 

Positive transfer

Negative transfer

나누기도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