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공영어10

Determiner의 Subtype과 Pre/Central/Post determiners Determiner. 한국어 학습자들이 가장 어렵게 느끼는 부분이다. 심지어 전공자들도 많은 어려움을 겪는 영역이다. 그 이유는 한국어와 대응하는 개념이 없기 때문이다. 영어는 영어대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한국어로 번역된 개념은 과감히 생략하고 영어로만 나열한다. (사실 번역이 의미가 없는 게, 학자마다 다르게 번역하여 더 혼란스럽다.) 1. Subtypes of Determiners Article a/an, the Demonstrative this/that, these/those Possessive pronoun my, his/her, our, your Possessive NP John's, Bill's Quantifier all, any, few, many Partitive glass of, .. 2019. 6. 24.
Deletion (탈락 현상) 종류 및 예시 Deletion이란, 특정 환경에서 소리가 탈락하는 현상이다. 앞에 언급하였던 Assimilation과 같이 알아두면 좋을 것이다. Assimilation에 대해서 알아보기 Assimilation (동화 현상) 종류 및 예시 영어에도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동화 현상'이 있다. 동화 현상이란, 발음을 쉽게 하기 위해서 특정 소리가 주변의 소리와 비슷하게 바뀌는 것을 말한다. 종류가 여러가지 있는데, 하나씩 살펴보자 1. Progressive.. brainlibrary.tistory.com 1. Word-final cluster reduction 단어 마지막 자음이 뒤의 단어 첫 자음과 만나서 발음되지 않고 탈락되는 것이다. ex) west side vs. west end, blind man vs. blin.. 2019. 6. 16.
Assimilation (동화 현상) 종류 및 예시 영어에도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동화 현상'이 있다. 동화 현상이란, 발음을 쉽게 하기 위해서 특정 소리가 주변의 소리와 비슷하게 바뀌는 것을 말한다. 종류가 여러가지 있는데, 하나씩 살펴보자 1. Progressive and regressive assimilation 동화의 방향성이다. Progressive: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영향을 주는 것 ex) cup과 cub이라는 단어가 있다. 여기에 복수형을 붙이면 cups와 cubs가 되는데 앞에는 [s]로 발음되지만 뒤에는 [z]로 발음된다. 이는 앞에 있는 소리 [p]와 [b]에 voicing을 맞추기 위한 것이다. Regressive: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영향을 주는 것 ex) 부정 접두사 /iN-/이 possibble과 consistent에 각각 붙을.. 2019. 6. 15.
Non-referential there VS. Referential there 영어를 공부한다면 한 번쯤 마주하게 될 토픽인 'there'. There is.. There are.. 입에 질리도록 붙어있지만 눈에 보이는 것만큼 간단한 녀석이 아니다. 1. 개념 Non-referential there을 이해하려면 Referential there의 개념을 알아야 한다. Reference라는 것은 대명사라고 생각하면 된다. 즉, '전에 언급되었거나, 이미 안다고 전제되는 것'의 반복을 피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 따라서 Referential there은 그 자체가 아니라, 그것이 지칭하는 대상이 반드시 존재한다. 반면, Non-referential there은 그것이 지칭하는 대상이 없다. "그냥 자리만 차지하는 녀석일 뿐.", 그러나 그 자리가 중요한 자리라는 것이 문제다. 2. 핵심 .. 2019. 5. 30.
반응형